신정왕후(神貞王后)
1808(순조 8)∼1890(고종 27). 익종의 비. 풍양조씨 헌종의 어머니입니다. 아버지는 풍은부원군
만영(萬永)이며, 어머니는 송준길의 후손인 목사 시연의 딸입니다.
12세 때 익종비로 책봉되어 세자빈이 되었고 효부라는 칭찬을 들었습니다.
1827년(순조 27) 헌종을 낳았으며
1834년 헌종이 왕위에 오르고 죽은 남편이 익종으로 추봉되자 왕대비로되고, 1857년(철종 8) 순조비인 순원왕후가 죽자 대왕대비로 되었습니다.

철종이 재위 13년 만에 후사(後嗣)도 없이 죽자 왕실의 권한은 최고 어른인 대왕대비가 쥐게 되었으며 그전부터 흥선군 이하응(李昰應) 및 조카인 조성하(趙成夏)와 손을 잡고 있었으므로 즉각적으로 흥선군의 둘째 아들로 왕위를 계승하게 하였습니다.
또한, 안동김씨 세력을 더욱 약화시키기 위하여 고종을 아들로 삼아 철종이 아니라 익종의 뒤를 잇게 하였습니다. 그리하여 내전에 고종의 옥좌를 마련하고 자신은 그뒤에서 수렴청정을 하게 되었습니다.
1866년(고종 3) 2월까지 계속 수렴청정을 하며 관리 탐학의 방지, 진휼(賑恤), 황해도 도장(導掌) 폐해의 엄금(明禮宮 토지가 그곳에 많아 항상 대왕대비의 측근이 황해감사로 임명되었다고 합니다.
공폐의 제거 등을 하였다고 하지만, 실제의 정권은 모두 흥선대원군이 잡도록 하교한 바가 있습니다.
고종은 민비(閔妃)가 정치에 참여하기 이전까지 효도를 다하였으나, 그뒤 민비의 질투를 두려워 한 대왕대비가 고종을 피하였으며
또한, 친정세력들을 대거 기용하였지만, 그들이 잇따른 정변에 희생되어 조씨가문이 쇠락해지자 슬퍼하였다고 합니다. 더욱이, 국가가 여러 재난에 시달리게 되자 눈물을 흘리며 죽지 않는 것을 한탄하였다고 한다. 능은 수릉으로 경기도 양주에 있습니다.